Create의 그래픽(이전의 스티커)를 사용하여 별도의 새 미디어 장면을 만들지 않고도 장면에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선택할 수 있는 수백 개의 그래픽이 있지만 나만의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여 그래픽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💡팁: 장면당 최대 20개의 그래픽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이 도움말에서는 다음에 대해 알아봅니다.
그래픽 검색 및 추가하기
-
스토리보드에서 그래픽을 추가할 장면을 선택합니다.
-
사이드바에서 그래픽을 선택합니다. 그러면 다양한 그래픽 중에서 선택하거나 그래픽으로 사용할 나만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는 그래픽 메뉴가 열립니다.
- 사용 가능한 그래픽을 탐색합니다.해당 카테고리의 모든 그래픽을 확인하려면 모두 보기를 선택합니다.
💡 팁: 모든 카테고리 드롭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카테고리별로 필터링할 수도 있습니다. - 선택한 그래픽을 선택하여 장면에 추가합니다. 장면에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그래픽 메뉴에서 업로드를 선택하여 자신의 기기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도 있습니다. .
그래픽 속성 도구 모음
장면에서 그래픽을 선택하면 스테이지 위에 그래픽 속성 도구 모음이 나타나고 그래픽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더 많은 옵션이 표시됩니다. 자세한 내용은 Create 에디터의 속성 도구 모음에 있는 'Create 에디터에서 속성 도구 모음을 어떻게 사용하나요?'를 참조하세요.

그래픽 속성 도구 모음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애니메이션: 그래픽에 사용할 다양한 애니메이션 중에서 선택합니다(페이드, 스탬프, 또는 팝).
-
크기: 장면의 그래픽 크기를 조정합니다.
💡 팁: 스테이지에서 그래픽을 선택하고 경계 상자의 점을 드래그하여 그래픽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. - 불투명도: 장면에서 그래픽의 불투명도를 설정합니다(0%-100%).
- 회전: 장면에서 그래픽의 회전 각도를 설정합니다.
-
뒤집기: 그래픽을 가로 또는 세로로 뒤집을 수 있습니다.
💡팁: 스테이지에서 그래픽을 선택하고 회전 핸들을 선택한 다음 그래픽을 회전하려는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그래픽을 회전할 수도 있습니다. - 타이밍 수정: 그래픽 타이밍을 길이 자동 맞춤으로 설정하거나 장면에서 그래픽의 길이를 수동으로 자르고, 확장하거나 분할할 수 있는 타임라인을 엽니다.
- 그래픽 바꾸기: 선택한 그래픽을 스톡 그래픽으로 바꾸거나 나만의 그래픽을 업로드합니다.
-
옵션 더 보기
- 복사: 기기의 클립보드에 그래픽을 복사합니다. Create 에디터 내에서만 복사한 그래픽을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.
- 사본 만들기: 그래픽을 복제하고 작업 중인 장면에 자동으로 붙여넣습니다.
- 붙여넣기: Create 에디터를 통해 기기의 클립보드에서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습니다.
- 삭제: 작업 중인 장면에서 선택한 그래픽을 삭제합니다.
- 앞으로 보내기: 선택한 그래픽을 장면에 있는 다른 요소 앞으로 이동합니다.
- 뒤로 보내기: 선택한 그래픽을 장면에 있는 다른 요소 뒤로 이동합니다.
💡 팁: 업로드한 그래픽에 배경이 있는 경우 그래픽 점검 도구 모음에 배경 효과 옵션도 표시됩니다.
-
기본값: 원래의 배경이 포함된 기본 상태로 그래픽을 유지합니다.
-
투명: 그래픽의 주요 대상에 초점이 맞춰지고 표시됩니다. 이미지 배경이 투명한 배경으로 변경되고, 아래의 장면이 표시됩니다.
⚠️참고: 일부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에서 주요 대상을 정할 수 없으면 배경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. 해당 이미지의 배경을 제거하려면 다른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. 그런 다음 배경이 투명한 새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그래픽의 지속 시간 변경하기
Create의 길이 자동 맞춤 도구를 사용하거나 수동으로 변경하여 동영상에서 그래픽 재생 시간의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-
재생 시간을 수정할 그래픽을 선택합니다. 그래픽 속성 도구 모음에서 타이밍 수정 버튼을 선택합니다.
-
타임라인에서 노란색 상자에 있는 좌측 또는 우측 마커를 선택하고 드래그하여 장면의 그래픽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립니다. 노란색 상자 전체를 선택하고 타임라인의 새 위치로 드래그하여 장면에서 그래픽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.
- 완료를 선택하면 스토리보드로 돌아갑니다.